정책연구
한국 제조업의 글로벌가치사슬 고도화 현황과 고용구조 분석
23. 8. 28.
304
최남석

요약문
보고서는 글로벌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기업이 부가가치 창출과 국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미국, 일본, 유럽과의 新 글로벌 공급망 연계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미국 중심의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에 능동적 대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15~‘20년 기간 OECD 부가가치무역통계를 이용해 76개 교역대상국의 17개 제조업 부문 1,292개 글로벌 가치사슬(GVC)을 분석한 결과, 교역상대국의 수출제품 중 중간재를 생산?수출하는 한국의 전방 GVC 연계는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기기 △의료?정밀?광학기기?시계 △전기장비 △기타기계?장비 △자동차?트레일러 등 5대 제조업에서 고도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제조업의 전방 GVC 고도화는 주로 미국, 중국, 일본 등 10개국과 더불어 이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한국이 국내 창출 최종재 수출을 위해 교역상대국 창출 수입중간재를 활용하는 후방 GVC에 대한 연계는 △코크스?연탄 및 석유정제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1차 금속 등 3대 제조업에서 고도화되었다.
보고서는 ‘15~‘21년 7개년도 OECD 부가가치무역 통계를 광업제조업조사 및 기업체활동조사 통계와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 8대 전후방 글로벌 가치사슬 핵심업종에서 국내 무역활동기업의 기업당 고용수준이 산업군 전체기업 평균보다 약 510명 더 많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특히, 반도체 제조업 등 5대 핵심 전방 글로벌 가치사슬 업종에서 무역활동기업의 기업당 고용은 산업군 평균보다 약 610명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매출액의 경우 ‘15~‘21년 기간 8대 전후방 글로벌 가치사슬 핵심업종에서 국내 무역활동기업의 기업당 매출액은 산업군 전체 평균보다 연간 약 5,144억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반도체, 자동차 등 5대 전방 글로벌 가치사슬 핵심업종에서는 무역활동기업의 기업당 매출액은 ‘15~‘21년 기간에 산업군 전체보다 연간 약 3,977억 많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목차
Ⅰ. 연구목적 및 내용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내용
Ⅱ. 데이터 분석
1. 한국 산업의 해외진출 및 글로벌가치사슬 고도화 산업 분석
2. 7대 핵심 GVC 고도화 제조업종별 수출기업과 국내기업의 매출 및 고용 비교분석
Ⅲ. 한국의 대미 해외직접투자가 국내고용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정책시사점
참고문헌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_500x160.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