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artin-martz-OR8DEvVhym0-unsplash.jpg

l    연구    l    보고서 

KERI Brief

​경제이슈에 대한 분석과 전망입니다.

KERI Brief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다변화와 한국의 정책 대응 방향

15. 1. 7.

5

김성훈

요약문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국가들이 장기 침체 상황에 있고 각국 중앙은행들 간 통화정책 상의 공조 노력이 급격히 약화되어 감에 따라 국제통화시장의 변덕스러움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본 보고서는 원화 가치의 변동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우리나라 정책수단들의 외환시장안정화 기여도를 평가함으로써 현시점에서 올바른 정책 방향을 제언코자 한다. 핵심 연구 결과 중 눈여겨 볼 것은, 원화 가치의 변동성이 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IMF 체제하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미국 금융경기에 급속도로 의존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미국 금융경기에 과도하게 노출된 나라들의 통화 가치는, 만약 내년 미국경제의 실질지표 등이 현재 전망보다 나쁘게 나타나 연준기준금리 인상을 포함한 미국 통화정책 전반의 정상화 과정이 처음부터 삐걱거리게 될 경우, 급격한 부침을 겪을 수 있다. 이에 우리정책당국은 美금융경기에 따른 외환시장안정화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고 이를 시장과 선제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


 

목차


1​. 배경

2. 환율과 환율변동성의 관계

3. 환율변동성의 결정요인

4. 정책수단의 유효성

5. 결론





​#KERI Brief 최신 보고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