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기업가정신 지수의 장기 변화 추이 분석
16. 5. 2.
5
황인학

요약문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지수가 점차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2013년 우리나라의 기업가정신지수는 66.6로, 1976년 150.9에 비해 절반이상 하락했다. 특히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9년 우리나라 기업가정신지수는 63.3으로 조사기간 중 가장 낮았고, 이를 기점으로 하락폭도 더욱 커졌다.
보고서는 “기업가정신이 절반이상으로 떨어진 데에는 공공 부문 지수의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법안 가결률, 공무원 경쟁률 지표가 포함된 공공 부문의 기업가정신지수는 1981년도를 100점 기준으로 볼 때 1991년 90.7에서 2001년 70.2, 그리고 2013년에는 26.4로 크게 떨어졌다. 반면 민간부문 지수는 같은 기준으로 1981년 100에서 2013년 69.8로 하락했지만, 공공부문 지수에 비해 하락폭이 적었다. 황인학 선임연구위원은 “공공부문의 기업가정신지수가 하락한 이유는 정치 기업가정신(political entrepreneurship)을 나타내는 척도인 법안 가결율이 2000년대에 들어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법안 발의 수는 15대 국회 1951건에서 19대 국회 14387건으로 7.4배 이상 증가한데 반해, 가결건수는 15대 국회 659건 19대국회 1853건으로 2.8배 증가했다. 그 결과 법안 가결율도 15대 국회 33.8%에서 19대 국회 12.9%로 절반 이상 낮아졌다. 한경연은 “법안 발의 건수가 증가하는데 비해 가결율이 떨어지는 이유는 경제활동 규칙을 정하고 변경할 권한과 책임이 있는 국회의 입법 활동이 비생산적이고 지대추구적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라며, “이는 민간 부문의 생산적 기업가정신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가정신지수 지표 중 인구 10만당 사업체수는 꾸준히 증가한데 반해, 대규모 사업체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당 사업체수는 1976년 41.99개에서 2013년 132.26개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인구 10만당 중소규모·소규모 사업체수는 꾸준히 증가한데 반해, 대규모 사업체수는 1980년대 후반 이후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2) 전체 사업체 중 300인 이상의 대규모 사업체 비중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1970년대 초반까지는 중소규모의 기업들이 종업원 300인 이상 대기업으로 성장하면서 증가 추세로 나타났으나, 1976년 6.8%를 기록하는 등 감소세로 돌아서 1988년 3.1%, 1998년 1.5%, 2013년 1.0%로 크게 줄었다.
목차
Ⅰ. 연구 목적
Ⅱ. 선행 연구의 특징과 한계
Ⅲ. 이론 분석틀: 제도 -> 기업가정신 -> 경제발전
Ⅳ. 기업가정신 변화 추이 분석
Ⅴ. 결론
참고 문헌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