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임금결정요인 분석 및 새로운 임금체계 개선방안
91. 12. 24.
3
김재원

요약문
요약문 없음
목차
제1장 문제의 제기
제2장 성과배분임금제의 의의와 배경
1. 성과배분임금의 의의
2. 노사관계와 성과배분임금
3. 성과배분임금의 이론적 배경
제3장 성과배분의 발전과 성과배분의 외부여건
1. 경제민주주의와 산업민주주의
2. 주요국의 제도발전 추이
3. 결언
제4장 성과배분의 결정요인: 이익배분 및 종업원지주제의 발전을 초래하는 요인들
1. 정부 및 법제적 요인
2. 경제적 하부구조
3. 경영전략의 선택 및 노사관계유형
4. 노사관계 환경
5. 여타 조직의 세력과 전략
제5장 성과배분의 경제적 효과
1. 서언
2. 성과배분의 거시경제적 측면
3. 성과배분의 미시경제적 측면
4. 제도발전의 추이와 향후의 전망
제6장 한국의 임금교섭 및 임금조정 현황
1. 임금교섭현황
2. 임금조정관행
3. 임금교섭의 합리화 및 임금조정의 개선방향
제7장 한국 임금구조의 현황과 문제점
1. 임금구조의 현황
2. 성과배분모형의 적용을 위한 임금구조의 개선방향
제8장 동기유발을 위한 임금제도 개선시 고려사항
1. 공정성
2. 만족성
3. 임금지급체계의 경쟁성
4. 생산성 향상을 유발하는 임금제도
제9장 성과배분모형으로서 탄력적 임금제도의 도입방향
1. 탄력적 임금제도의 특징과 전제조건
2. 탄력적 임금제도의 도입을 통한 임금지급체계의 개선방향
3. 탄력적 임금제도로의 임금지급체계 개선의 기본방향
제10장 중.장기적 측면에서 본 성과배분모형의 모색
1. 임금제도의 개선방향정립을 위한 현실여건의 인식
2. 중·장기적 측면에서 본 성과배분모형의 모색 방안
제11장 요약 및 결언
1. 임금구조, 지급체계의 문제점
2. 동기유발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임금의 기능
3. 기본급 임금제도의 개선방향
4. 중·장기적 측면에서 본 성과배분모형의 모색
5. 결언
참고문헌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