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ERI Insight
한국의 규제완화 추진체계: 본질, 성과 및 개편방안
94. 12. 8.
10
김일중, 홍성종

요약문
신정부 출범 이후 매일 언론으로 보도되어 온 규제완화의 신화들... 그러나 왜 규제완화를 해야 하는가, 누가 추진 작업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가, 추진작업의 주체들에게 어떤 인센티브가 주어져야 하는가, 어떤 규제를 우선적으로 완화해야 하는가, 또 어떤 방식으로 완화해야 하는가, 명쾌한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목차
발간사
저자서문
I. 서론
1. 신경제와 규제완화 정책
2. 연구의 목적 및 순서
3. 외국의 규제완화 추진체계
II. 규제완화 추진의 정치경제학
1. 규제완화와 재산권의 재배분
2. 규제완화와 정치시장의 효율성
3. 규제완화의 추진도를 결정하는 요인
4. 규제완화와 관료기구
III. 한국의 규제완화 추진체계 : 성과 및 문제점
1. 규제완화에 대한 정치권의 대응
2. 규제완화 추진체계
3. 현 규제완화 추진체계의 문제점들
IV. 규제완화 추진체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조사일반
2. 조사결과 분석
3. 정부규제 및 시장기능에 대한 인식
4. 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V. 규제완화 추진체계의 통합방안
1. 상황
2. 통합기구의 형태
3. 통합기구의 조직
4. 통합의 범위
5. 규제의 사전심사
VI. 규제완화 통합기구의 업무방향 : 효율적인 규제방식으로의 전환
1. 규제방식의 개입단계별 구분
2. 규제방식과 사회후생의 극대화
3. 효율적인 규제방식을 결정하는 요인들
4. 사후규제방식으로의 전환 및 병행조건
VII. 결론
참고문헌
부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KERI Insight 최신 보고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