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경제교과서 모형개발 연구
95. 10. 10.
2
임천순

요약문
이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정치·경제’과목 교과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새로 편찬될 ‘경제’과목 교과서의 바람직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기존의 지식·이론 위주의 교과서 구성 및 집필 방식을 실생활 위주의 집필 방식으로 과감히 전환시킴으로써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대처하고 실생활과 보다 연관성이 높은 교육내용을 담은 새로운 ‘경제’과목 교과서로서의 모형과 틀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접근 및 강조점
4. 연구의 방법과 절차
II. 경제교육의 목표 설정과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방향
1. 경제교육의 목표
2. 교육과정에 나타난 경제교육의 목표
3. 경제교육 목표의 실현 방향
4. 경제교육 내용 구성의 주요 쟁점
III. 현행 정치. 경제 과목에서의 경제 내용의 문제점
1. 교과서 내용의 문제
2. 교수-학습과정과 평가의 문제
IV. 경제교육 내용의 국제 비교
1. 미국의 경제교육
2. 일본의 경제교육
3. 영국. 프랑스의 경제교육
V.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내용 구성의 기본방향 및 교과서 모형 개발안
1. 경제 교과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의 탐색
2. 경제 교과서의 기본 모형안
VI. 결론 및 제언
1. 연구 결과의 요약
2. 경제 교과서 개발 및 집필
참고문헌
<부록1> 제6차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내용
<부록2> 현행(제5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 정치. 경제’ 과목 교과서의 내용 차례
<부록3> 일본의 고등학교 학습지도 요령(공민편)
<부록4> 일본의 중학교 학습지도 요령(사회중 공민적 분야)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