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ERI Insight
KERI 분기 거시경제모형 96
97. 2. 18.
3
이수희, 김창배, 김명정

요약문
한국경제연구원이 1990년 작성한 분기거시 계량경제모델은 90년 전반대를 지나면서 개방화와 자율화가 급속히 진전 되고 있는 최근의 우리 경제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한계를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 모형개선 작업은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첫째,외환자유화,금리자유화 등 금융부문의 변화를 감안하여 통화지표를 내생화하고 시중실세금리를 사채이자율 대신 회사채수익률로 전환하는 등 관련변수들을 내생화하고자 하였다.
둘째, 두 차례의 유류파동이 경기변동에 있어 지배적인 영향력을 가졌던 1970년대와 정치 경제적인 충격으로 부(-)의 성장률을 기록한 1980년을 포함한 이후 몇 년간을 방정식 추정을 위한 자료의 관측치에서 제외하고자 함으로써 파라미터의 변동에서 올 수 있는 예측오차를 줄이고자 시도하였다.
셋째, 이외에도 투자부문을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로 소비부문을 내구재,준내구재,비내구재 및 서비스 함수로 행태방정식을 세분화하여 추정함으로써 모형의 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개관
제2장 모형의 기본구조
1. 모형의 구조와 특성
2. 부문별 개별방정식의 추정
제3장 시뮬레이션
1. 역사적 시뮬레이션
2. 정책 시뮬레이션
3. 모형에 의한 분기별 거시경제 예측의 결과
제4장 결어
참고문헌
부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KERI Insight 최신 보고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