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임금과 생산성의 인과관계 연구 -우리나라 제조업을 중심으로-
01. 3. 23.
3
박성준

요약문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제조업의 임금과 생산성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융위기를 포함한 전체기간을 살펴보면 먼저 생산성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의 값은 그 크기가 크며 또한 충격반응에서도 뚜렷한 양(+)으로 나타나 일반적 임금이론의 가설인 생산성의 증가가 임금의 상승을 유도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임금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값을 살펴보면 먼저 금융위기 이전에는 그 값이 미약하나마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마치 효율임금이론을 뒷받침하는 듯하나 이보다는 제도적 요인, 즉 노사관계에서 설명을 찾는 것이 우리 노동시장의 사정에 보다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를 포함한 전체기간을 살펴보면 우선 충격반응에서 비록 양(+)으로 나타나나 신뢰구간을 보면 영(0)을 포함한 음(-)의 값도 띠고 있고 임금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값도 영(0)으로 나타나 임금상승이 생산성 증가를 유도하지 못한다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비록 노동운동이 거세였던 시기에 노조의 요구에 다소 밀리기는 하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들의 임금정책은 철저하게 생산성에 기반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임금정책은 IMF 이후 보다 강화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
제3장 Geweke의 선형 피드백 방법
1. 선형 피드백
2. 조건부 선형 피드백
제4장 자료
1. 임금
2. 생산성
3. GDP성장률
제5장 실증분석
1. 선형 피드백
2. 조건부 선형 피드백
3. 금융위기 이전까지의 임금과 생산성의 관계
제6장 Sims의 충격반응
1. 개요
2. 임금과 생산성의 관계
제7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