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한국 제조업에서 미국, 일본 R&D투자의 파급효과 분석
01. 12. 26.
2
박승록

요약문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R&D투자노력이 한국의 10개 산업(표준산업 분류상 대분류)수준에 어떤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한, 미, 일 R&D투자가 우리 나라 주요업종의 평균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한국의 R&D 투자의 평균비용 탄력성은 전체 제조업 0.91%, 1.2%, 0.2% 씩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일본의 R&D 투자 역시 우리 나라 제조업의 평균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탄력성 추정 치로 볼 때 일본의 R&D 투자 1% 증가는 우리 나라 평균비용을 제조업 0.23%, 경공업 0.82%, 중공업 0.40%를 각각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의 R&D투자 1% 증가는 제조업 0.83%, 경공업 0.1%, 중공업 0.8%를 각각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 미. 일 R&D투자의 한국 제조업에 대한 평균비용 감소효과를 보면 한국의 R&D투자가 전반적으로 평균비용을 미국, 일본의 R&D투자보다 많이 감소시키고, 중공업보다는 경공업의 평균비용을 보다 많이 감소시키고 있다. 일본의 R&D투자가 한국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은 주로 경공업에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데 비해 중공업에는 경공업보다 다소 약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의 R&D투자는 경공업보다는 주로 중공업의 평균비용감소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연구동향과 연구배경
1. 연구동향
2. 연구배경
제3장 분석모형
1. 자료의 작성
2. 모형의 설정
3. 모형의 추정
제4장 실증분석 결과
1. 한미일 국가전체 R&D스톡의 개별산업 비용에 대한 파급효과
2. 국가전체 R&D스톡의 개별산업 요소수요에 대한 파급효과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기초자료 및 분석결과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