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른 전력시장 역할의 검토
02. 4. 13.
6
조성봉, 조인구

요약문
본 보고서는 2001년 발전부문의 분할과 함께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배경을 살펴보고 2004년 이후에 양방향 입찰로 확장될 도매경쟁시대에서 적용되는 전력시장의 거래메커니즘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 전력산업의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배전/판매 부문의 분할과 소매자유화가 꼭 이루어져야 하며 발전부문을 출발점으로 배전/판매 부문의 민영화도 계획대로 추진되어야 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한편 경쟁적 거래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될 때 시장참여자의 인센티브가 왜곡되고 자원이 적정하게 배분되지 못하여 사회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인센티브 왜곡의 장기화는 새로운 이해집단의 형성을 불러들여 전력산업의 민영화 성과를 위축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 캘리포니아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발전설비의 건설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력시장에 큰 혼란과 사회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특히 전력거래시장에서 단일요금체계가 갖는 유인구조상의 왜곡이 단일요금체계의 장단점과 비교되어 검토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발전사업자의 전략적 행위를 제대로 방지할 수 없는 제재수단은 폐지하고 보다 합리적인 수단을 동원하여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우리나라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민영화
1.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현황
2.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문제점
3. 전력산업 구조개편 및 민영화 추진현황
제3장 전력사업 구조개편과 전력시장의 역할
1. 전력부문의 경쟁도입과 전력시장
2. 양방향 입찰시장의 전력거래 규칙
제4장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전력시장 설계(안)의 검토
1. 전력산업의 구조개편
2. 전력시장 설계(안)의 평가
제5장 정책제안 및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