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생산성 분석
02. 7. 27.
7
박승록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5개 공기업과 공기업이 소속된 산업에 속해 있는 민간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수준 및 생산성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회계적 경영성과를 비교할 때 공기업은 민간기업에 비해 인당 혹은 자본당 매출규모가 훨씬 저조함에도 불구하고 낮은 부채비율로 인한 안정적인 재무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역시 안정적이고 높은 당기순이익을 실현하고 있다.
공기업의 노동생산성은 2000년 기준 전체 민간기업의 65.9%에 불과하며, 자본생산성은 민간기업의 20.2%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기술적 효율성 수준을 비교해 보면, 2000년 기준으로 공기업은 53.3%에 불과하나, 전체 민간기업은 59.5%, 30대 기업집단 소속기업은 68.9%로 높은 수준이다.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생산성 변화추세를 보면 공기업과 민간기업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공기업의 총요소생산성 변화는 1996-2000년간 연평균 2.2% 증가하여 민간기업 전체의 1.9%나 30대 기업집단 소속기업의 1.2%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분석방법론
1. 생산성과 효율성의 의미
2. 생산성 변화의 분해를 위한 이론모형
3. 실증분석모형의 설정과 생산성 변화의 분해법
4. 패널자료panel data의 작성
제3장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 비교
1. 회계적 생산성 비교분석
2.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제4장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