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세무조사제도의 문제점과 개편방향
04. 6. 25.
5
김유찬

요약문
세무조사는 과세당국의 가장 중요한 세무행정행위 중의 하나이다. 과세당국은 세무조사를 통하여 납세의무자가 세법이 규정한 대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확히 신고하는지를 확인하여 조세의 채권과 채무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우리나라에서는 세무조사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문제점과 이의 개선을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세무조사 이론 :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
1. Allingham/Sandmo(1972)의 기본 모델과 그 발전
2. 국내의 탈세 및 세무조사제도에 대한 연구
3. 현재까지의 연구에 대한 종합적 검토
제3장 우리나라의 세무조사제도와 그 집행 실태
1.우리나라의 세무조사제도(세법과 국세청 조사사무처리규정)
2. 세무조사의 집행실태
제4장 외국의 세무조사제도의 규범 및 운영
1. 미국의 세무조사제도와 세무조사 정책
2. 영국의 세무조사제도 및 세무조사 정책
3. 독일의 세무조사제도
4. 호주의 세무조사제도 운영
5. 뉴질랜드의 세무조사제도 운영
6. 주요 OECD 국가의 세무조사제도 및 운영의 경험에서 얻는 정책시사점
제5장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우리나라의 세무조사제도 및 운영의 문제점
2. 세무조사제도 및 운영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