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ERI Insight
우리나라 잠재성장률 추정과 전망
04. 6. 30.
6
박원암, 허찬국

요약문
이 책에서는 경제성장의 중요성을 직시하고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추정하여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향후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을 전망하였다. 아울러 1997년의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1980년의 외채위기와는 달리 경제성장률을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시키지 못하고 있으므로 투자촉진과 제도개선을 통해 시급히 성장력을 회복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실질GDP 추이와 잠재성장률 추정기법
1. 실질GDP 추이 : 위기와 산출량 손실
2. 인플레와 잠재성장률
3. 잠재성장률 추정기법
제3장 잠재성장률 추정
1. Hodrick-Prescott 필터
2. 단일변수 비관측 요인 방법
3. 산출량-인플레 비관측 요인 방법
제4장 성장전략
1. 정책 기조
2. 성장률 제고 대책
3. 지속적 성장대책: 구조개혁과 제도 개선
제5장 잠재성장률 전망
1. 투자를 포함한 비관측모형
2. 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전망
3. 투자와 고용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KERI Insight 최신 보고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