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RI Insight
외환위기 이후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의 동조화 현상 분석
05. 12. 13.
6
송정석

요약문
특정한 두 나라 통화의 환율이 매우 유사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따라서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의 동조화Coupling는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이들의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특히 외환위기 이후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원-엔 동조화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설명은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쟁관계이나, 최근의 연구는 원-엔 동조화가 외환위기 이전보다 이후에 심화된 이유는 자본시장 개방화의 증가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기간을 여러 개의 구간들로 나눈 뒤, 각 구간에서의 원-엔 동조화 정도를 최근의 계량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해당구간에서의 원-엔 동조화를 둘러싼 관련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어떤 조건하에 동조화가 심화되고 어떤 경우에 그렇지 않은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원-엔 동조화의 관련요인으로 환율 변동성 요인, 거시경제지표, 외환수급을 고려하고 있으며, 그중 환리스크를 대변하는 환율 변동성이 원-엔 동조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원/달러 환율 움직임의 속성을 가늠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Ⅰ. 연구의 동기 및 배경
Ⅱ. 문헌조사
Ⅲ. 기존연구와의 차이점 및 연구목적
Ⅳ. 한국과 일본의 최근 환율제도 추이
Ⅴ. 원-엔 동조화 관련 요인들의 최근 동향
제2장 원-엔 동조화 분석을 위한 실증적 접근
Ⅰ. 계량모형 및 방법론
Ⅱ. 원-엔 동조화 관련 요인
Ⅲ. 실증분석 및 결과
제3장 요약 및 결론
Ⅰ. 주요 연구결과
Ⅱ.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아래 표지를 누르시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